Tags
- 프런트엔드
- postman tests
- postman automations
- postman pre-request
- 우수한 프런트 개발자
- Interaction developer
- Android/iOS Developer
- C++
- Intellij
- emplace_back
- Front-end developer
- 다빈치 리졸브
- c#
- solidity
- 좋은 개발자
- LSL_Script
- postman collection
- postman collection variables
- Android
- postman html parse
- postman
- postman csv
- Unity
- Java
- web developer
- MFC
- UI/UX Engineer
- postman session
- oracle
- postman exce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Data Type (1)
david's daily developer note
Blank Padding _ CHAR, VARCHAR 차이.
공백 패딩(Blank Padding) DB에서, 문자열을 저장할 수 있는 CHAR, VARCHAR 데이터 타입의 저장 방법에 있어서 중요한 차이점으로는 실제 문자를 입력하고 남는 부분에 대한 처리 방법을 들수 있다. 최대 크기가 50bytes로 선언된 CHAR(50)과 VARCHAR(50) 타입의 테이블 컬럼에 각각 20bytes 길이의 문자열을 입력했다고 가정했을 때, VARCHAR(50)은 입력한 20bytes에 대한 공간만을 사용하는 반면, CHAR(50) 타입은 입력한 20bytes 이후의 공간인 30bytes (최대 50 bytes – 입력한 20 bytes)에 해당하는 부분을 공백으로 채워서 최대 크기로 선언한 50 bytes를 모두 사용한다. 이처럼 VARCHAR타입은 저장 공간은 절약할 수..
Develop (kids)
2010. 12. 22. 16:39